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5

수성 : 태양계의 첫 번째 행성 수성(水星, 라틴어: Mercurius)은 태양계의 행성 중 가장 가까운 궤도를 도는 행성입니다. 태양에서부터 평균 5,800만km 떨어져 있으며, 반지름은 2,440km, 둘레는 43,924km인 가장 작은 내행성입니다. 핵은 수성 전체 반지름 7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고 철을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합니다. 수성의 자전주기는 58일이고, 공전주기는 88일입니다.표면은 충돌구가 많고, 행성이 만들어지고 식으면서 수축할 때 형성된 거대한 절벽이 있습니다. 나트륨, 칼륨 등으로 구성된 대기가 있지만 매우 희박합니다. 행성 중 태양에서 가장 가까이에 있어서 강력한 중력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매년 조금씩 궤도가 변합니다. 1. 수성의 탄생과 역사태양이 생겨나고 남은 가스 구름과 먼지로 이루어진 원반 모양.. 2025. 1. 9.
지구를 알아보자! 지구(地球, Earth)는 태양으로부터 세 번째 행성이며, 지구형행성 중 가장 큰 행성입니다. 지구는 45억 6700만년 전 형성되었으며, 달을 위성으로 둡니다. 지구의 중력은 태양과 지구의 자연 위성인 달과 상호작용을 합니다. 1. 지구의 탄생지구는 태양계를 형성하던 시점과 같은 시점인 약 45억 년 전에 만들어졌습니다. 원시 태양계 원반의 태양 가까운 부분에서는 갓 방출하기 시작한 태양의 복사에너지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면서 규소가 주성분인 암석 종류와 철, 니켈 등의 금속 성분이 남았는데, 이것들은 원시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합쳐져 그 크기를 늘려갔습니다.원시 지구의 열원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소행성의 충돌로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뀌게 되는데 그 에너지가 원시 지구를 뜨겁게 가열시.. 2025. 1. 8.
블랙홀은 어떻게 생겼나요? 블랙홀(black hole)은 우주에서 가장 기이하고도 환상적인 천체라 할 수 있습니다. 물질 밀도가 극도로 높아서 빛조차도 빠져나갈 수 없는 엄청난 중력을 가진 존재입니다. 가까이 접근하는 모든 물체를 가리지 않고 모두 집어삼키는 블랙홀은 모든 사람의 관심과 상상력을 자극합니다. 이 블랙홀의 존재는 최초로 인간의 머릿속에서 태어났습니다. 1783년 천문학에 관심이 많았던 영국의 지질학자 존 미첼이 밤하늘의 별을 보면서 엉뚱한 생각을 하는데, 뉴턴의 중력 법칙과 빛의 입자설을 결합하여 생각했습니다. "별이 매우 무거우면 중력이 너무 강하게 되고 빛조차도 빠져나갈 수 없게 되면 빛나지 않는 검은 별이 될 것이다." 이것이 블랙홀 개념의 첫 씨앗이었습니다. 미첼은 이런 생각을 쓴 편지를 왕립협회로 보냈으나,.. 2025. 1. 8.
달과 달의 탄생 달(Moon)은 지구의 자연 위성입니다. 태양계의 위성 중에서 크기는 다섯 번째이며, 자연 위성 중 가장 큽니다. 지구 중심부터 달 중심까지 거리는 평균 38만 4400km입니다. 달 지름은 지구의 약 4분의 1, 태양의 약 400분의 1이며, 그 길이는 3,476km입니다. 달의 공전주기는 약 27.3일이며, 달의 부피는 지구의 약 50분의 1 정도이며, 표면 중력은 지구의 약 17퍼센트입니다. 1. 달의 탄생과 지구와의 관계달의 기원에 관해서는 포획설, 분리설, 쌍둥이설, 충돌설 등 많은 가설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거대 충돌설이 대세가 되었습니다. 거대 충돌설이란 지구 형성 초기에 화성만 한 크기의 천체 테이아가 충돌해 두 천체가 합체하고, 그 충격으로 천체 일부가 우주 공간으로 날아가 지구 주위를 .. 2025. 1. 7.
은하수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은하수란 우리의 천구(天球)에 구름 띠 형태로 길게 뻗어 있는 수많은 천체의 무리를 가리키는 우리은하를 말합니다. 밤하늘에 동서로 길게 뻗어 있는 이 빛의 강, 은하수를 서양에서는 '젖의 길', 밀키웨이(Milky way)라 부르며, 그리스 신화에서는 헤라 여신의 젖이 뿜어져 나와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영어에서 대문자 'Galaxy'로 쓰면 밀키웨이 갤럭시를 가리키며, 소문자 'galaxy'로 쓸 경우에는 일반명사 은하를 뜻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은하수를 '미리내'라고 불렀으며, '미리'는 용을 가리키는 고유어 '미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자로는 은한(銀漢), 운한(雲漢), 우한(牛漢)이라고도 합니다.  1. 은하수가 지구에서 보이는 모습은하수는 밤하늘에 천구를 아치형으로 가로지르는 흰 빛의 .. 2025. 1. 7.
겨울에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 겨울철에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는 일반적으로 겨울철(동지 ~ 입춘)의 북반구에서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를 뜻하며, 쌍둥이자리, 황소자리, 오리온자리, 큰개자리, 작은개자리, 마차부자리, 고물자리, 토끼자리 등이 있습니다. 겨울철 별자리 중 유명한 것 중 하나가 황소자리의 플레이아데스성단입니다. 플레이아데스성단(Pleiades star cluster)은 서양에서 일곱자매 별(Seven Sisters)로 더 알려져 있으며, 지구에서 가까운 산개성단 중 하나이며, 맨눈으로 가장 확실히 알아볼 수 있는 성단입니다. 1. 오리온자리오리온자리는 천구의 적도에 걸쳐 있는 겨울철 밤하늘의 대표적인 별자리입니다. 오리온자리의 명칭은 그리스 신화에 나온 사냥꾼 오리온에서 유래되었습니다.사다리꼴의 중앙에 나란히 자리 잡고 .. 2025.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