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3

은하수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은하수란 우리의 천구(天球)에 구름 띠 형태로 길게 뻗어 있는 수많은 천체의 무리를 가리키는 우리은하를 말합니다. 밤하늘에 동서로 길게 뻗어 있는 이 빛의 강, 은하수를 서양에서는 '젖의 길', 밀키웨이(Milky way)라 부르며, 그리스 신화에서는 헤라 여신의 젖이 뿜어져 나와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영어에서 대문자 'Galaxy'로 쓰면 밀키웨이 갤럭시를 가리키며, 소문자 'galaxy'로 쓸 경우에는 일반명사 은하를 뜻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은하수를 '미리내'라고 불렀으며, '미리'는 용을 가리키는 고유어 '미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자로는 은한(銀漢), 운한(雲漢), 우한(牛漢)이라고도 합니다.  1. 은하수가 지구에서 보이는 모습은하수는 밤하늘에 천구를 아치형으로 가로지르는 흰 빛의 .. 2025. 1. 7.
겨울에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 겨울철에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는 일반적으로 겨울철(동지 ~ 입춘)의 북반구에서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를 뜻하며, 쌍둥이자리, 황소자리, 오리온자리, 큰개자리, 작은개자리, 마차부자리, 고물자리, 토끼자리 등이 있습니다. 겨울철 별자리 중 유명한 것 중 하나가 황소자리의 플레이아데스성단입니다. 플레이아데스성단(Pleiades star cluster)은 서양에서 일곱자매 별(Seven Sisters)로 더 알려져 있으며, 지구에서 가까운 산개성단 중 하나이며, 맨눈으로 가장 확실히 알아볼 수 있는 성단입니다. 1. 오리온자리오리온자리는 천구의 적도에 걸쳐 있는 겨울철 밤하늘의 대표적인 별자리입니다. 오리온자리의 명칭은 그리스 신화에 나온 사냥꾼 오리온에서 유래되었습니다.사다리꼴의 중앙에 나란히 자리 잡고 .. 2025. 1. 3.
가을에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 가을철의 별자리는 일반적으로 가을철(추분 ~ 입동)에 북반구의 밤하늘에서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를 뜻하며, 염소자리, 물병자리, 물고기자리, 양자리 등의 별자리들이 이에 속합니다. 1. 염소자리염소자리(라틴어: Capricornus)는 가을철 남쪽 하늘의 어두운 별자리이며, 황도 12궁의 열 번째 별자리입니다. '뿔 달린 염소' 또는 '염소의 뿔'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으며, '바다염소자리'로 부르기도 합니다. 염소자리는 현대 88개 별자리 중 하나이며, 톨레미의 48개 별자리에 포함됩니다. 염소자리의 경계는 독수리자리, 궁수자리, 현미경자리, 남쪽물고기자리, 물병자리에 둘러싸여 있으며, 이 별자리는 게자리를 제외하면 황도 12궁 중에서 가장 어두운 별자리입니다. 태양은 1월 말부터 2월 중순까지 이 별.. 2024. 12. 30.
여름에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 여름에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는 일반적으로 여름철(입하 ~ 입추)에 북반구의 밤하늘에서 찾아볼 수 있는 별자리들입니다. 백조자리와 독수리자리, 거문고자리, 헤라클레스자리 전갈자리 외 여러 별자리가 여기에 속합니다. 1. 백조자리와 독수리자리백조자리(Cygnus)는 북쪽 하늘에 위치하며, 고니자리로도 별칭 합니다. 은하수 위에 날개를 펼친 백조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비교적 큰 크기여서 밝은 별이 많습니다. 데네브는 백조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백조자리의 알파 별입니다. 데네브는 지구에서 3,230 광년이나 떨어져 있는데도 맨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 청색 초거성인 이별은 백조의 꼬리가 되며, 북십자의 위쪽 끝이 됩니다. 백조자리에서는 여러 개의 성단과 성운을 찾을 수 있는데, 이는 별자리가 은하수에 놓여 .. 2024. 12. 23.
봄에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 봄에 관측되는 별자리는 일반적으로 봄철(춘분 ~ 하지)에 북반구 밤하늘에서 찾아볼 수 있는 별자리를 말합니다. 봄철 밤하늘을 대표하는 별은 아르크투루스(Arcturus)입니다. 아르크투루스는 목동자리의 알파 별로, 밟기는 -0.05등급으로 목동자리에서는 가장 밟고, 북쪽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며, 하늘 전체에서는 세 번째로 밝은 별입니다. 북두칠성의 국자 끝의 구부러진 부분을 그대로 일곱 개의 별만큼 뻗친 곳에 있는 오렌지색 별이며, 태양에서의 거리는 30광년입니다. 아르크투루스는 또한 처녀자리의 알파 별 스피카, 북두칠성의 마지막 별 알카이드와 함께 봄의 대곡성을 이루며, 스피카와 사자자리 베타 별 데네볼라와 함께 봄의 대삼각형을 이룹니다.  1. 큰곰자리(Ursa Major) 큰곰자리는 천구의 북극.. 2024. 12. 20.
별자리(Constellation) 별자리(constellation)는 성좌(星座)라고는 하며, 밝은 별을 중심으로 지구에서 보이는 모습에 따라 이어서 어떤 사물을 연상하도록 붙인 이름을 말합니다. 별자리는 대체로 비슷한 방향에 놓여있지만 실제로 같은 별자리에 속해 있는 별들이 반드시 3차원상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별자리는 시대별, 문화권별로 다르지만, 현재는 1930년 국제 천문 연맹(IAU)에서 정한 88개의 별자리가 공통으로 쓰입니다.   1. 별자리의 기원별자리의 원조는 먼 옛날 중근동 아시아에서 키우는 짐승들을 지키기 위해 밤에 잠 안 자고 보초 서던 목동들입니다. 5천 년 전쯤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유역에서 양 떼를 기르던 유목민 칼테아인이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주 오랜 옛날, 양 떼를 지키기 위해 드.. 2024. 12. 19.